Train

Train Detection

야구소년 2007. 8. 17. 09:36

1. Why is Train Detection?
   열차 검지정보는 열차의 운행 위치확인, 선로전환기의 쇄정, 열차의 간격조정과 운행예고
   등을 통하여 철도 신호 시스템 자동화의 초석을 마련함.
   신호 시스템 자동화 란 전기 연동장치(계전 연동장치)에 의한 자동화를 말한다.
   신호 시스템 자동화를 통해 선로 용량 증대와 열차 운행 능률을 향상 시킬 수 있다.
   
   * 선로 용량 증대
           a. 괘도회로간 거리를 줄임.
           b. 시격을 조절(열차 운행 시간 간격을 줄임)

   열차 점유정보
          - 신호기 제어 정보
          - 선로전환기 제어 정보(진로 제어)
          - 열차 운행 위치 확인(운전 시격 제어)
          - 열차의 간격 조정(동일 역에서 각기 다른 열차가 출발한 시간)
          - 열차 접근 예고(PIS, PIA)

  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AF 궤도회로, 임펄스 궤도회로, PF 궤도회로, 인덕티브 루프, 무선통
   신 방식 등을 이용하여 열차를 검지하고 있음.

2. Track Circuits
   A. HVI(High Voltage Impulse) Circuit
       교류 전철구간에 주로 사용되며, 송수신 거리에 따른 전압강하가 거의 일어나지 않음.
       주로 역 구내 및 선로전환기 구간에 설치됨.
     
       * 특징
           a. 주로 역 구내 및 기지, 선로전환기 구간에 설치
           b. 절연내력이 커서 신호기기에 대한 보호효과가 큼
           c. 속도코드는 AF 궤도회로장치를 이용(Loop)
   
   B. AF Track Circuit
       가청 주파수를 이용하여 열차검지 기능 뿐만 아니라 행당 열차의 지시속도까지 기관사
       에게 전달.

        * 특징
            a. 8 종류의 가청 주파수(1,459~2,563Hz)를 사용
            b. 열차검지기능, 선행 열차와의 운행간격, 지시 속도
            c. 경부선 TI21, 경부고속선 UM71 사용